국제구호<몽골> 기후난민 어린이 마스크 보내기

2023-09-13
조회수 2075

몽골 기후난민 어린이 마스크 보내기 재정 후원

후원하기




1. 초원을 누비던 유목민, 쓰레기장 옆으로 가다.

'몽골'하면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시나요? 시리도록 파란 하늘, 평화로운 초원에서 무리 지어 있는 양과 염소들, 말을 타고 질주하는 현지인. 하지만 이 풍경은 점점 보기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몽골의 유목민이 전통적으로 해온 목축은 매해 발생하는 가축 폐사를 유발하는 기상이변 '조드(재앙)', 평균기온 상승과 강수량 감소로 인한 사막화로 지속하기 어려워졌습니다.  더 이상 목축을 할 수 없는 유목민들은 일자리를 구하고자 수도인 울란바토르에서 낮은 산지와 언덕에 자리를 정착해 게르촌을 형성해 살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수도, 전기와 같은 기본 시설이 들어오지 않는 것은 물론 쓰레기장 옆에 자리를 잡기도 했습니다.


2. 파란 하늘, 심각한 미세먼지로 흐려지다.

몽골의 수도인 울란바토르에는 인구의 절반이 살고 있습니다. 그중 22%가 게르촌에 거주하고 있죠. 게르촌에서는 기본 인프라가 확보되어있지 않아 난방을 위해 나무와 석탄은 물론 쓰레기와 폐타이어까지 태우고 있습니다. 이런 방식은 울란바토르의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수치,  황산가스 농도를 매일 '나쁨' 수준으로 기록하게 합니다. 지난 10년간 울란바토르의 호흡기 질환 발병률이 3배 넘게 증가했다고 합니다. 5세 미만 아이들의 경우 사망 원인 2위가 폐렴이고 도시에 사는 아이들의 폐기능은 지방 아이들보다 40% 낮습니다.
 

3. 게르촌 어린이의 일상

몽골에서는 어여쁜 흰색 블라우스 교복을 입은 어린이들이 삼삼오오 모여있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소득이 낮은 게르촌에서는 교복을 살 수도 없고 빨래조차 어려운 실정입니다. 아이들은 학교보다는 마을의 몇 곳 안 되는 우물에서 물을 사오며 하루를 보내고 있습니다. 잠깐 밖에 있어도 코 속이 시커매지는 공기를 뚫고 물을 길으러 가는 아이들의 모습은 걱정을 이어지게 합니다.


4. 하나누리가 선물하고픈 맑음

하나누리는 기후위기로 발생한 몽골의 기후난민, 특별히 울란바토르의 게르촌 어린이가 맑은 일상을 보낼 수 있도록 3가지의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있습니다.

마스크 선물하기

몽골의 열악한 대기환경 속에서 건강을 지킬 수 있도록 마스크를 선물합니다.

놀이터 조성

쓰레기장이 생활 공간의 전부인 아이들에게 안전하고 마음껏 놀 수 있는 공간을 만듭니다.

공부방 조성

학교를 가지 못하거나, 학교를 다니는 아이들이 공부를 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미래를 만들 수 있도록 하려 합니다.


첫 번째로 어린이의 폐 건강을 지키는 마스크를 선물 프로젝트를 시작합니다. 물론, 여러분들과 함께 말이죠. 집에 쓰지 않는 마스크가 많이 있진 않나요? 그 마스크를 보내주시면 됩니다. 어린이가 쓸 것이기에 아동용이 가장 좋지만 성인용도 환영합니다. 마스크를 보내기 어려우시다면 재정 후원으로 함께해주셔도 좋습니다. 마스크를 모아서 몽골까지 보내고, 현지에서 나눠주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에 매우 큰 힘이 됩니다.


집에 잠들어있는 마스크를 깨워, 몽골 기후난민 어린이에게 맑은 공기를 선물하세요:D



※참고기사

1)  "몽골 가축 떼죽음 부르는 ‘조드’…유목민, 기후난민이 되다 "
https://www.hani.co.kr/arti/society/environment/1067614.html

2) "초원과 은하수의 나라, 몽골의 대기오염 '민낯'"
http://www.newspenguin.com/news/articleView.html?idxno=12857


사단법인 하나누리  |  대표 방인성   |  사업자등록번호 101-82-15331

주소 (04626) 서울시 중구 퇴계로36가길 97, 희년평화빌딩 3층

전화 02-743-4113 |  팩스 02-336-4906 | 이메일 hana@hananuri.org


호스팅제공자 (주)누구나데이터

개인정보관리책임자 이원정(hana@hananuri.org)

Copyright ⓒ 2023 사단법인 하나누리 All rights reserved

                                          "하나누리는 공적 인증을 기반으로 활동합니다."